가을을 맞이하여 전국적으로 축제가 한창이다.
우리 지역도 연휴 기간 많은 예산이 투입된 축제가 두 개나 있었다.
많은 관람객이 있었으면 좋았겠지만 첫 행사라 미흡하고 부족한 홍보 때문인지 투입된 예산에 비하여 많은 아쉬움을 남기며 마무리가 되었다.
무엇보다 두 행사 모두 행사를 책임지는 주체가 불명확 한 것이 문제의 시작인 것 같다.
영덕군은 행사를 기획하고 준비하고 진행하는 것이 명확하게 밝히지 않고 있다. 주관은 영덕군문화관광재단으로 되어있으나 취재를 해보니 행사를 기획, 섭외만 했다고 하기에 그럼 누가 행사를 책임지는지에 관하여는 명확한 대답을 듣지 못하였다.
완벽한 준비로 행사를 시작하더라고 진행 중 미흡한 점은 돌출되기 마련이다. 그에 따라 행사 주체는 그 부분을 시정하여 불편함을 줄여야 하지만 그런 모습은 보기 힘들었다.
참여하는 관광객은 축제에서 무엇을 하는 것인지조차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고 도비가 투입된 도 행사라 하지만 행사장은 영덕이다. 행사로 인한 이미지는 우리가 모두 떠안아야 하는 부분이다.
많은 예산을 들여 행사를 하는 것은 지역의 특산물 홍보와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지역민의 문화 혜택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 한 본 기자의 잘못인가!
지역민들의 참여와 봉사 속 화려하진 않아도 지역의 인심과 정으로 관광객과 지역민이 어우러진 행사를 기획하기보단 외주 용역사로 행사를 진행하려는 모습이 어느 때부터인지 사라지고 있다.
지역의 봉사단체에 협조를 구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은 한다. 그러나 외주 용역사에 지불되는 돈은 아무렇지 않게 집행하며 지역민에겐 오직 봉사만을 강요한다면 문제가 아닐까?
우리 집 잔치를 남에게 맡기며 우리 식구보단 더 잘 하겠지라는 막연한 생각으로 행사를 기획하는 것인가? 지역을 배제하며 축제를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묻고 싶다.
불명확한 축제로 행사를 진행하는 이유가 무엇인지도 묻고 싶다. 그렇다면 그 많은 예산 집행은 누가 했는지도 묻고 싶다.
본 기자는 앞으로도 지역 행사를 지역민과 함께 지켜볼 것이다.
군의 행사평가가 마무리되면 후속취재로 이 궁금증을 해소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