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해 80만 노동자 수를 기록하며 국내 3D업계 일자리를 주도했던 외국인 노동자들의 삶 또한 3D업계 마냥 힘들게 살아오고 있다.
우선 이들의 주거가 쾌적함과 거리가 먼 대부분 열악하기 그지 없는 현실이 그것이었다.
지역에서도 고령사회로 인한 일손 부족이 심각하면서 해마다 외국인 노동자들이 지역으로 유입되어 농촌과 어촌에 귀한 일손을 보태고 있다.
현재 지역에 외국인 노동자로 활동하고 있는 수는 대략 200여 명이 바다에서 선원으로, 농촌에서 허드렛 일을 하면서 생활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 대부분 생활하는 숙소가 전국의 외국인 노동자 숙소 현실과 마찬가지로 열악하기 그지 없다.
이런 사정이다 보니 추운 겨울이나 더운 폭서기 나기가 여간 버거운 것이 아니다.
이런 사정은 장마나 태풍 래습 시 지붕이 물이 새고 물난리로 피해를 입기도 한다.
또한 화재 등으로 큰 재산 및 인명피해까지 나타나면서 사회문제화 되고 있다.
특히, 대부분의 노동자들이 동남아 출신으로 추운 겨울이면 난방이 안되어 추위에 떠는 외국인들도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런 열악한 사정에 정부도 이들 외국인 노동자 사정을 감안, 지난 2021년 1월 1일 시행되어 계도기간을 마친 「외국인노동자 근로여건 개선 방침」에 따라 외국인 노동자 숙소를 개선하고 있다.
「외국인노동자 근로여건 개선 방침은 가설건축물이 일정 수준을 갖춰도 건축법상 주거용건축물이 아니면 외국인노동자의 숙소로 이용할 수 없도록 했다.
하지만 사업주들은 제도적 허점을 파고 들면서 오히려 인력난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농산어촌 지자체들의 노동자 숙소에 대한 관리 강화를 통한 인력 공백 해소가 있어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 지역 내 외국인 노동자 관리 부담은 대부분 농어가 사업주가 도맡아 하고 있는데 농어가 사업주만이 떠안도록 할 것이 아니라 우선 지방자치단체만이라도 적극적으로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지역에서 정치망을 하고 있는 A모씨(남 63세 남정면)는 "현재 지역에서 외국인 노동자들이 없어면 사업을 접어야 할 정도로 국내 일손이 귀하다. 한꺼번에 외국인 노동자들이 들어오면 숙소 배정도 어렵고 각국에서 언어가 다른 외국인끼리 소통도 필요한데 삶의 방식도 다르다 보니 서로 부딪히는 일이 다반사다." 고 고충을 토로하면서 "이들을 한데서 관리할 행정적 지원이 절대적인데 그렇지 못한 현실이 안타깝기만 하다. "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A씨는 "영덕군에서 일정한 곳에다 숙소를 마련하고 노동자 한 명당 얼마의 관리비를 요구하면 관리도 쉽고 통제도 잘 된다."며 "선진적 자치단체의 사례를 보여주길 희망 했다.
그는 "행정이 규정에 따라 설계하고 관리하면 후속으로 외국인 노동자 누가 들어오더라도 기준이 지켜질 것이지만 농어가 사업주들에게 맞겨두면 관리도 허술할 뿐더러 사고도 많이 발생한다."고 강조 했다.
그는 특히, "외국인 노동자들의 일상 후 관리가 어렵다 보니 사각지대에 방치가 되는 경우도 많다.
특히 네트워크의 발달로 일자리를 찾아 국내로 들어왔던 외국인들끼리 소통을 하면서 야반도주를 하는 경우가 많아 불법 체류인으로 남아 있는 외국인 또한 많다."며 영덕군의 진취적 사고를 주문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