년초부터 날아든 난방비 청구서에 서민들은 할 말을 잊게 했다.
폭탄으로 일컬어 질 만큼 대폭 오른 난방비로 민심은 정부에 대해 사늘하게 식어가자 정부가 부랴부랴 내 놓은 지원 대책들이 도시가스에만 초점이 맞추어지면서 농어촌이 소외되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
즉 도시가스 보급율이 낮은 농어촌은 대부분 등유로 난방을 하고 있으며 일부는 액화석유가스(LPG)나 연탄, 목재로 난방을 하고 있는데 지난 해 이들 재료들이 크게 올랐지만 지원에서 제외가 됐다.
이런 사정은 지역도 마찬가지인데 도시가스 혜택이 없는 한 상가 업주 A모씨(여 62세 강구면)는 “한 달 매출이 300만 원 남짓한데 난방비로 지난달에 68만 원이 나갔다.”며 “아직 추운 날씨가 계속 이어지고 있지만 높은 연료비를 감안하여 평소 실내 온도를 14℃로 맞추고 이불을 뒤집어쓰고 있다 손님이 오면 온도를 올리고 있기를 반복한다.”며 “대부분 안정적인 수익을 올리는 도시가스 사용자들은 난방비 혜택을 보면서 안정적이지 않는 수익구조를 가진 대부분의 자영업자들은 코로나19에 이어 난방비 폭탄으로 그 어느 때보다 혹독한 겨울나기를 하고 있다.”고 어려운 현실을 개탄 했다.
또 다른 시설 채소 업자(남 60세 강구면)는 “한창 자라야 할 작목들을 위해 일정 온도를 유지해야 하지만 난방비 부담으로 생산을 이어갈 지 고민이다.”며 회의적인 반응을 보였다.
지역 현실을 외면한 일부 공무원들의 탁상행정으로 농어촌 서민들만 고달픈 현실이다.
참고로 현재 지역의 전체 도시가스 보급율이 18%에 불과하며 라인이 깔려 있는 영덕·강구·영해를 기준으로는 29%로 나머지는 대부분 등유로 난방을 하는 실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