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농, 저출산, 고령화로 매년 줄어 들고있는 지역 농•어촌 인구는 멀지 않아 소멸할 것이라는 우려들이 나오고 있다. 1970년 초반에 12만이던 영덕군의 현재 인구는 통계상으로는 2022년 7월 현재 3만 5천(34,991명)이라고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 거주하는 인구가 과연 3만 3천이나 될까하는 우려들이다.   한편 영덕군에 5년간 유입된 귀촌 귀농의 인구는 약 4,000명(2,600가구)정도다. 그러나 그들이 여러가지 조건으로 실제 얼마나 정착을 하고 있는지는 확실한 자료가 없다. 그러나 유입된 인구보다 유출되는 인구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그 이유는 여러가자가 있지만 튼튼한 농업, 활기찬 농촌, 잘사는 농민으로 안정적인 소득과 행복한 삶으로 정착하고 싶은 마음이 생겨 나도록하는 지역 정책이 필요하다.   이와 때를 맞추어 이제는 이렇게 있을 수는 없다는 농,어업인들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대한민국 농•어민단체인 농업회의소가 창립하고 각 도, 시•군 별로 설립되면서 농민들의 목소리를 한데 모아 가고 있다.   영덕군은 2021년 5월에 창립하여 현재 650여 명의 회원들이 가입, 경상북도 23개 시군 중 5번째로 창립을 하고 조직과 계획을 세워서 활발하게 운영하고 있다. 농업회의소는 농업계를 대표하는 대의기구다. 국가가 법률로 정한 대표성을 갖는 공적 자문기구이며 농민들의 권익을 대변할 뿐만 아니라 농업인과 농촌주민이 필요한 공공 서비스 제공기능을 수행한다. 의견을 모으는 방식은 여러 길은 있지만, 가장 실효성이 큰 것은 읍·면 순회 간담회다.   영덕군 농업회의소는 2022년 7월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 영덕군 9개 읍,면을 순회하는 간담회가 있었다. 간담회에 참여한 농민과 지역민들이 300명이 넘었다. 회원들이 내놓은 많은 정책 의견을 분류해서 농업회의소에 조직된 여러 분과위원회가 검토하고 수집한 참고자료도 함께 검토하여 정책 제안서를 만들게 된다. 그렇게 만든 정책 제안들을 지방자치단체에 보내고, 지방자치단체 농정 담당 공무원들과 한자리에 모여 정책협의회를 개최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회의소가 지방의회를 찾아가 조례 제정안을 제시하고 조례 제정을 요청하기도 한다.   지난 지방선거를 앞두고, 거리마다 ‘민주주의의 꽃은 선거입니다’라는 펼침막이 붙었다. 선거가 꽃이라면, 뿌리는 무엇일까? 꽃은 특별한 모습을 잠깐 뽐내지만, 뿌리는 나무가 살아있는 내내 일상적으로 작동한다. 아니, 뿌리가 쉼 없이 제 역할을 해야 나무가 죽지않고 꽃을 피운다. 농민을 비롯한 주민 다수의 의견을 담은 말과 글이 풍성하게 흐르고 만나고 모여 농업·농촌 정책에 영향을 주는 의사소통 구조가 있다면, 그것을 두고 민주주의 농정의 뿌리라 할 수 있지 않을까?   가장 중요한 것은 농정 관련 정보를 지역의 농민 다수에게 빠짐없이 알리는 동시에 민의(民意)를 폭넓게 수렴해 지방자치단체에 전달하고 협의하는 역활을 하는 대표적인 단체가 농업회의소의 활동이다. 간담회에 참석한 귀농한 P씨는 실망을 했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나무에 물을 주고 거름을 주는 일을 해야 할 의원님들이 내빈소개에 얼굴을 알리는 장소라면 나무는 죽고 말 것이다. 차라리 오지나 말 일이지 왜들 저런지 모르겠다. 그래도 어느 단체가 어떤 성격과 목적을 가지고 어떤 일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 어떤 일을 하는지를 알아야 의정 활동에 많은 도움이 되지 않을까?”   지역별 개회식에 참석한 군의원 7명 중 한 분만 끝까지 회의소의 그 동안의 활동보고와 운영실태의 내용을 잘 들었다면서 많은 것을 얻어 앞으로 의정 할동에 도움이 되겠다고 했다.   문제는 함께 협의하고 결정하고 정책을 추진하는 정책 결정 중심체인 군과 의회, 농협, 농촌기술센타, 회의소 및 단체 등 관(官)의 진정성이 있는 협력이 이루어질 때 인구 소멸위기에 있는 농,어촌지역 인구 감소을 막을 수 있는 대응의 길이라고 조언한다.   .        
최종편집: 2025-08-26 07:48:01
최신뉴스
트위터페이스북밴드카카오톡네이버블로그URL복사
제호 : 고향신문본사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중앙길 75 2층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고향신문 등록(발행)일자 : 2020년 11월 26일
발행인 : 이상호 편집인 : 청소년보호책임자 : 청탁방지담당관 : 경북, 아00622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조원영
Tel : 054-734-0707 팩스 : 054-734-1811 e-mail : g-news@hanmail.net
Copyright 고향신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