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첫 시행한 고향사랑 기부제(이하 고향세)의 실적이 각 지자체별로 나왔다.
영덕군의 경우 경북도 23개 시·군 중 10위를 차지했고 군부에서는 3위에 랭크되며 나름 선방하는 결과를 얻었다.
하지만 도입 목적에 부합하는 소멸위기에 내몰린 농어업과 농어촌에 마중물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했던 기부금이 만족스럽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대부분 담당 공무원의 인건비에도 못 미치는 액수가 그것을 증명하고 있다.
영덕군의 경우 각종 행사는 물론 향우회 모임에서 입소문을 통한 홍보활동을 한 결과라지만 적극적인 홍보가 제한되면서 겨우 고향 발전에 힘을 보태고 세액 공제 혜택과 답례품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을 설명하여 참여를 이끌어 냈다. 물론 전국에서도 이름난 지역 특산품을 답례품을 선정하여 만족도가 높았던 것은 덤이다.
하지만 더욱 성공을 거두기 위한 필요 조건으로 성공적인 모금 활동을 펼친 지자체의 사례들을 참고 할만 하다.
더불어 행정동우회를 중심으로 전 공직자가 자발적으로 출향한 자녀들에게 제도의 취지와 혜택을 지속적으로 전파하는 한편 모든 주민들에게도 같은 방법으로 홍보가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일부에서 `그까짓거 얼마된다고?라고 반문하여 외면 한다면 성공적인 모금이 될 수가 없다.
티끌 모아 태산이라는 말이 괜한 말이 아니잖는가?
더불어 정부도 제도 개선을 통해 활성화를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전화나 문자 발송 금지나 개인으로 한정한 기부 주체도 법인까지 확대하고 기부금 한도를 상향하고 거주지 기부제한도 풀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특히 기부 누리집 `고향사랑 e음` 시스템 정비와 민간 플랫폼 허용 등 묶어둔 규제를 풀어야 한다는 지적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